제목 | 대통령 리더십 연구원장, 조청래 |
---|---|
작성자 | test |
작성일 | 25-07-31 16:02 |
조회 | 46회 |
관련링크
본문
관련 내용 포함한 정치권 이슈 최진 대통령 리더십 연구원장, 조청래 전 여의도연구원 부원장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관세협상타결 소식부터 질문을 드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 오전에 이제 타결 소식이 전해졌는데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보자면.
고위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국민주권 정부, 국정운영 방향과 고위공직자 자세'를 주제로 특강에 나섰다.
이날 새벽 한미관세협상이 타결됐으며 이를 통해 미국에 수출되는 한국산 제품에 대한관세는 기존에 예고됐던 25%가 아닌 일본, EU(유럽연합)과 마찬가지로.
[앵커] 미국과의관세협상타결을 두고 정치권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야당은 시간에 쫓겨 양보했다는 느낌이 든다고 박하게 평가했는데, 민주당은 박수 칠 때는 칠 줄 알아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블랙핑크 리사 SNS 한국과 미국 간관세협상이 타결되면서 식품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정부가 미국에 3500억 달러(약 488조 원)를 투자하고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한 가운데, 일부 수출 품목에 대한관세인상이 불가피해진 상황.
이 대통령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과의협상은 우리 국민주권 정부의 첫 통상분야 과제였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니어처 모델이 태극기와 ‘관세’라는 단어를 배경으로 서 있다.
한국은 상호관세와 자동차관세를 모두 15%로 낮췄다는 점.
시민사회가 대규모 투자 등을 조건으로 상호관세를 15%로 정한 한미협상결과에 대해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참여연대는 31일 논평을 통해 "정부는 선방했다고 자평하는 분위기지만,협상의 중간 결과를 받아보는 국민들의 마음은 불편하기 이를 데 없다"고 했다.
486조 4650억 원) 규모 펀드 조성 방식으로 결정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채널인 '트루스 소셜'에서 이번관세협상에 대해 "전면적이고 완전한 무역 합의"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직면.
한국과 미국의관세협상이 타결된 31일 경기도 평택항에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뒤로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일본·유럽연합(EU)산 자동차 등과 경쟁.